경북도, 6월 1일부터 시 지역 ‘주택 임대차 신고제’ 시행
- 기자명 강신윤 기자
- 입력 2021.05.26 18:11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SNS 기사보내기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구글+(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보증금 6000만원 또는 월차임 30만원 초과 대상경북도는 오는 6월 1일부터 체결한 주택의 임대차 계약에 대해 임대인과 임차인이 공동 신고하는 ‘주택 임대차 신고제’를 시행한다.
‘주택 임대차 신고제’는 주택 임대차계약 체결 시,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계약 당사자가 임대기간, 임대료 등 계약내용을 신고관청에 신고하도록 의무화한 제도이다.
도내 ‘주택 임대차 신고제’ 시행지역은 포항시 등 10개 시 지역으로, 임대차 거래량이 작고 소액 임대차 비중이 높아 신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군 지역은 제외했다.
신고금액은 임대차 보증금 6천만원 또는 월차임 30만원을 초과하는 임대차 계약으로 신고방법은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온라인(부동산거래시스템) 신고도 가능하다.
신고 대상은 신규, 갱신계약 모두 신고하여야 하지만, 계약금액의 변동이 없는 갱신계약은 신고대상에서 제외했다.
신고 항목은 임대인ㆍ임차인의 인적사항, 임대 목적물 정보(주소, 면적 등), 임대료, 계약기간, 체결일 등 임대차 계약 내용으로 하고, 갱신계약의 경우 종전 임대료, 계약갱신요구권 행사여부를 추가하도록 규정했다.
주민등록법상 전입신고를 할 경우, 임대차 계약서를 첨부하면 임대차 계약 신고를 한 것으로 규정했으며 임대차 신고 시 계약서를 제출한 경우,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른 확정일자가 부여된다.
임대차 계약을 미신고하거나 거짓 신고하는 경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하지만 신규 제도 도입에 따른 적응기간 등을 감안해 시행일로부터 1년(2022년 5월 31까지) 동안은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는 계도기간을 운영할 예정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주택 임대차 신고를 통해 확정일자가 자동적으로 부여됨에 따라 그간 확정일자를 받지 않는 경향이 있었던 소액, 단기계약도 신고제를 통해 확정일자가 부여돼 임대차 보증금 보호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또한 “임대차 신고제를 통해 임대차 시장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돼 임차인은 임대료 정보를 확인하고 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며 “임대인은 적정한 임대료 책정을 통한 공실 위험 감소에 도움이 되는 등 거래편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며 ‘주택 임대차 신고제’의 조기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부동산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부터 '전세 6000만원·월세 30만원' 넘으면 신고해야 (0) | 2021.06.01 |
---|---|
①포항KTX역세권 개발 본격화, 5만명 자족도시 (0) | 2021.05.27 |
"임대차법 전 집계약했다면 세입자 갱신요구 거절 정당" (0) | 2021.05.20 |
이인지구 ‘한화 포레나 포항’ 84㎡형 A타입 청약경쟁률 11.22대 1 (0) | 2021.05.20 |
주택 임대차(전월세) 신고제' 6월부터 시행 (0) | 2021.05.17 |